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지     논문검색

한국언어문화학 , (2019)
pp.29~49

DOI : 10.15652/ink.2019.16.3.029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부정대명사 대조 연구

김기성

(단국대학교)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 모두 부정대명사란 특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 성질(특성), 개수(수량), 공간(장소), 시간, 동작(행위) 등을 대용하여 가리키는 말이다. 현대몽골어에서 의문사(의문대명사) 뒤 에 첨사 ‘ч’를 연결해 부정대명사를 만든다는 점은 한국어의 대명사(의문 대명사) ‘아무’, ‘누구’ 등에 조사 ‘-도’나 ‘-나’ 등을 연결해 부정대명사를 만드는 방법, 또는 의문대명사 ‘누구’, ‘언제’, ‘어디’, ‘무엇’ 등에 ‘-도’나 ‘-나’, ‘-라도’, ‘-든지’, ‘-든’ 등을 연결해 부정대명사를 만드는 방법 등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람과 사물을 불분명(불특정, 비한정)하게 표현할 때는 의문사를 반복 사용하고 그 뒤에 ‘ч’를 연결해 복수의 의미로 사용한다. 한국어도 이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각각 ‘хэн хэн ч’, ‘누구누구 도’처럼 사용한다. 한국어는 ‘아무도’, ‘아무나’, ‘누구도’, ‘누구나’처럼 대 명사(의문대명사)에 조사 ‘-도’, ‘-나’ 등을 바로 연결한 형태인 반면, 몽골 어는 ‘-도’나 ‘-나’에 해당하는 ‘ч(чиг)’를 따로 띄어 써 ‘хэн ч’, ‘юу ч’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는 점은 일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몽골어의 ‘모 든 의문사 + ч’ 형태의 부정대명사가 격변화(곡용) 할 때에는 앞에 위치한 의문사가 격변화 한다. 대부분 완전하게 격변화를 하지만 일부 의문사들 은 불완전하게 몇몇 격변화를 하지 않는다. 앞에 위치한 의문사가 격변화 한다는 점은 한국어의 경우에서도 일부 의문사에서 유사하게 찾아 볼 수 있지만, 되는 경우 보다는 안 되는 경우가 더 많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한 편, 몽골어의 경우는 격변화한 격어미 뒤에 재귀어미 ‘-аа4’를 취하여 행위 주(行爲主) 와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definite Pronouns of Modern Mongolian and Korean

Kim Kisung

In both Modern Mongolian and Korean, indefinite pronouns are used to refer to unspecified people, objects, characteristics (attributes), amounts (number), places (location), times, and actions (behaviors). The way interrogatives (interrogative pronouns) are followed by the particle “ch[ч]” to make indefinite pronouns in Modern Mongolian is similar to Korean, in which an auxiliary particle like “-do[-도]” or “-na[- 나]” is added at the end of a pronoun (interrogative pronoun) such as “amu[아무]” and “nugu[누구]” to make an indefinite pronoun, or “-do[- 도],” “-na[-나],” “-rado[-라도],” “-deunji[-든지],” or “-deun[-든]” is added at the end of an interrogative pronoun like “nugu[누구],” “eonje [언제],” “eodi[어디],” or “mueot[무엇],” to make an indefinite pronoun. When describing many people or objects in an unclear (abstract or unlimited) way, interrogatives are used repeatedly, and “ch[ч]” is added at the end to make it plural. A similar rule is applied in Korean: for instance, as in “nugunugudo[누구누구도]” like “khen khen ch[хэн хэн ч].” In Korean, the auxiliary particle, such as “-do[-도]” or “-na[-나],” is directly added at the end of a pronoun (interrogative pronoun), as in “amudo[아무도],” “amuna[아무나],” “nugudo[누구도],” and “nuguna [누구나].” However, in Mongolian, “ch(chig)[ч(чиг)],” which acts like “-do[-도]” or “-na[-나],” is added with a space in between the words, like “khen ch[хэн ч]” and “yuu ch[юу ч],” for example. When there is case inflection (declension) with indefinite pronoun in all “interrogatives + ch[ч]” formats in Mongolian, it is the interrogative in the beginning that causes such case inflection. Although case inflection is complete in most cases, with some interrogatives, the case inflection is incomplete or omitted. While case inflection caused by the interrogatives placed in the beginning is observed in certain interrogatives in the Korean language, it is not common, unlike in Mongolian. Meanwhile, in Mongolian, “-aa4” can be added at the end of case suffixes with case inflection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 with the agent, and this is not applicable in Korean.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