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지     논문검색

한국언어문화학 , (2020)
pp.63~69

DOI : 10.15652/ink.2020.17.1.063

조선족 대학원생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질적 탐구

권문화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어학과 박사수료)

전옥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어학과 박사과정)

이정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교수)

본고는 중국에서 초등교육과 중등교육과정에서 이중언어교육을 경험하고 학업목적으로 한국에 입국한 조선족 대학원생 1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여 그들의 언어 정체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인터뷰 내용에 대한 분석 방법은 주제 분석법에 의거하여 언어 정체성의 외적 측면과 내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외적 측면은 문화적 측면과 언어 환경적 측면으로, 내적 측면은 언어 태도를 중심으로 핵심 주제를 도출하였다. 외적 측면에서는 조선족이 이중언어 화자로서 문화 생활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고 이중언어교육 환경이 지역을 변인으로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내적 측면은 조선족이 조선어, 한국어, 한어에 대한 인식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조선어는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친밀감 유지 등 통합적 측면에서 중요하고 한국어와 한어는 학문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인지적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도구적 측면에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의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조선어 사용이 위축되는 현상이 있지만 조선족으로서의 민족적 자긍심은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조선족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구체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추후 한국 사회에서 조선족이 가지게 될 실천적 역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선족의 이중언어 화자로서의 장점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실천적인 언어 행위는 조선족의 능동적인 노력과 한국 사회의 조선족에 대한 이해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Graduate Students

Quan Wenhua

Quan Yu

Lee Junghe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graduates by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14 Korean-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ilingual education in China and have entered Korea to extend their studies. Based on the thematic analysis, the interview focused on the external aspects of language identity—cultural, linguistic, and environmental—as well as on the internal ones, which involve key themes emphasized by language attitudes (cognition, emotion, behavior), inductively. On the external side, it was found that the Korean-Chinese would make flexible choices about their cultural life and that bilingual education methods differed by regional variables. The internal aspects were grasped by the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Chinese Korean, Korean, and Chinese. The Chinese Korean language is important in integrating aspects such as maintaining intimacy with community members. However, Korean and Chinese are important tools for participating in cogni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the Chinese Korean language was reduced due to the negative recognition of Korean-Chinese in the Korean society, nevertheless, the national pride as Korean-Chinese was still maintained.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a concrete perspective on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and suggests the possible practical roles of Korean-Chinese in Korea. The Korean language’s bilingualism and practical language actions to create social values should be accompanied by active efforts of the Korean-Chinese and by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s in the Korean society.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