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지     논문검색

한국언어문화학 , (2021)
pp.47~79

DOI : 10.15652/ink.2021.18.2.047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김도연

(영남대학교)

본 연구는 ‘그러니까’의 화용론적인 의미 기능을 유형화하고 문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용론적 중의성을 인지적 접근법으로 설명한 Sweetser(1990)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것이 한국어 접속 부사 ‘그러니까’에 어떻게 대응되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실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니까’와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이 상관관계가 있으며 연결 어미 ‘-니까’가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 형성의 동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그러니까’는 영어의 ‘because’와 마찬가지로 내용 영역과 인식 영역, 그리고 화행 영역 세가지 영역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셋째,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그러니까’는 인식 영역에서의 쓰임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내용 영역에서의쓰임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미 기능에 따라 ‘그러니까’의 통사적 위치가 달라졌다. 본고는 대상 말뭉치의 장르가 한정되 었다는 점과 ‘그러-’ 계열의 다른 접속 부사들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니까’의 화용론적인 의미 기능을 유형화하고 문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러니까’의 실현 양상을 보여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Semantic Function and Realization Aspect of ‘Geureonikka’

Kim Doy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and to explore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and realization aspect of ‘Geureonikka’ through an analysis of a written Korean corpus. Therefore, Sweetser’s(1990) cognitive approach to the analysis of pragmatic ambiguity was examined, and his theory was applied to describe the realization aspect in a written Korean corpus of the conjunctive adverb ‘Geureonikka’. Subsequently, four findings were identified. First, the semantic function of ‘-nikka’ correlates with that of ‘Geureonikka’. and the connective ending ‘-nikka’ was verified as a cause for the semantic function formation of ‘Geureonikka’. Second, similar to ‘because’ in English, ‘Geureonikka’ was used in every domain: content connection, epistemic connection, and speech-act connection. Third, ‘Geureonikka’ in a written Korean corpus was extensively used in epistemic connection while it was infrequently used in content connection. Fourth, the syntactic position of ‘Geureonikka’ was determined by the 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identified: (i) The analyzed genre of a written Korean corpus was limited, and (ii)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similar conjunctive adverbs to ‘Geureo’ to reveal their differences from ‘Geureonikka’. Nevertheles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the pragmatic-semantic function of ‘Geureonikka’ was classified and the realization aspect of ‘Geureonikka’ in a written Korean corpus was demonstrated. (Yeungnam University)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