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지     논문검색

한국언어문화학 , (2024)
pp.189~212

DOI : 10.15652/ink.2024.21.1.189

Linguistic Environment of Non-Korean Parents with Children in South Korean Bicultural Families

Kim Jiyoung

(Monash University)

이 연구는 역사적으로 언어적 동질성이 높은 한 국 사회에서 생활하는 이문화 가정의 언어적 역동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 부모가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고 자녀와의 이중언어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그리고 외국인 부모의 개인 적 배경이 자신의 가정 내에서 언어 사용 실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 연구는 저자의 박사 학위 연구 프로젝트의 일 환으로 수집된 다양한 언어 배경과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130명의 외 국인 부모로부터 얻은 설문 조사 데이터를 가지고 참가자의 변수들 간 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단면 연구 방법을 통한 양적 데이터 분석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외국인 부모는 개인의 변수와 관계없 이 일반적으로 자신의 편안한 공간인 집에서 조차 자녀와 주로 한국어 로 의사소통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외국인 부모의 개인 적 배경과 그들의 언어 선택은 독립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들은 자신의 계승어 보다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러한 결과는 이문화 자녀의 계승어 유지를 위한 지원과 자원을 개발 할 때, 외국인 부모의 개인적 배경을 넘어서는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외국인 부모가 그들의 가정 및 사회공동체에서 언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이중문화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결정 과정의 복잡함 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또한, 이해관계자들이 계승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장려함으로써 가질 수 있는 중대한 영향력을 강조 한다. 이러한 지원은 외국인 부모와 자녀가 주류 사회 내에서 문화적 협상과 정체성 형성을 하는 데 있어 필수적일 수 있다.

한국 이문화 가정 자녀와 외국인 부모의 언어 사용 환경

Kim Jiyou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inguistic dynamics within b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South Korea, a historically and linguistically homogeneous society. It also explores how non-Korean parents negotiate language use and manage bilingualism with their children and examines whether the individual backgrounds of non-Korean parents influence language practices with their children in the unique linguistic environments of their homes. Survey data from 130 non-Korean parents with diverse linguistic backgrounds and cultural identities collected as part of the author’s larger doctoral research project were analysed. The study employed quantitative data analysis via a cross-sectional approach to simultaneously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mong a diverse group of participa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non-Korean parents in this study communicated predominantly in Korean with their children, even at home in their comfort zone, regardless of personal variables. Additionally, non-Korean parents’ backgrounds appeared to be independent of their language choices. They used Korean alone rather than ethnic heritage langu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akeholders should consider factors beyond the individual backgrounds of non-Korean parents when developing support and resources for heritage language maintenance in bicultural children. Exploring other factors influencing the language choices of non-Korean parents in their homes and communities is crucial.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intricate processes of linguistic decision-making in a bicultural context. Moreover,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t impact that stakeholders can have by actively promoting ethnic heritage languages. Such support can be essential for cultural negotiations and identity formation among non-Korea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mainstream society.

Download PDF list